Pink Bobblehead Bunny useHyuk()
 
useHyuk()
close
프로필 사진

useHyuk()

github: @helloa1109

  • 분류 전체보기 (37) N
    • PM (14) N
    • 😺JS & TS (6)
    • 😺 React & Next.js (8)
    • 😺 AI, LLM (1) N
    • 😺 Figma (0)
    • 😺 GSAP (1)
    • 😺 cs (5)
    • 😺 css (1)
  • github link
  • notion link
  • 홈
  • 태그
  • 방명록

네이버웹툰 컷츠의 차별화 전략 분석

"숏폼 시장은 이미 포화되었다"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틱톡, 유튜브 숏츠, 인스타그램 릴스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네이버웹툰은 과감하게 '컷츠(Cuts)'라는 숏폼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이 글에서는 PM 관점에서 네이버웹툰 컷츠의 전략을 분석하고, 포화된 시장에서 차별화된 제품을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현상 진단: 숏폼 시장의 포화와 네이버웹툰의 위기감숏폼 콘텐츠는 이미 우리의 일상이 되었습니다. 출퇴근 시간, 쉬는 시간, 자기 전 시간까지 틱톡과 유튜브 숏츠가 사람들의 손에서 떨어질 수 없게 되었습니다.네이버웹툰 입장에서 보면 상황이 심각합니다. 웹툰은 장편 콘텐츠인데, 사용자들은 점점 더 숏폼 콘텐츠에 이끌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Gen Z 세대는 긴 스토리를 따라가는 데 점..

  • format_list_bulleted PM
  • · 2025. 10. 25.

LangGraph: 에이전트 시스템 구축 완벽 가이드 🚀

최근 AI 애플리케이션, 특히 LLM(거대 언어 모델)을 활용한 서비스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여전히 '프롬프트-응답'이라는 단순한 패턴에 머물러 있습니다. 사용자가 질문하면, LLM이 한 번의 답변을 생성하는 식이죠. 이는 마치 LLM을 똑똑한 '조수'로만 활용하는 것과 같습니다.하지만 현대의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은 단순한 질의응답을 넘어섭니다. 우리는 AI가 동적이고, 유연하며, 과거의 대화와 맥락을 '기억(Stateful)'하길 원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센터 챗봇이 단순히 답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DB를 조회하고, 웹 검색을 수행하며, 답변이 불확실하면 사람(담당자)에게 승인을 요청하는 등, 능동적인 워크플로우를 처리하길 기대합니다.이러한 요구 속에서 ..

  • format_list_bulleted 😺 AI, LLM
  • · 2025. 10. 24.

IA(정보구조도) 가이드

"우리 서비스, 도대체 어디서 뭘 찾아야 하죠?"혹시 당신이 만든 서비스가 이런 피드백을 받은 적 없으신가요? 겉은 화려한데 막상 쓰려니 불편하고, 원하는 기능을 찾기 위해 앱 안을 몇 번이고 헤매게 되는 서비스. 우리는 이런 서비스를 '사용성이 떨어진다'라고 말합니다.이 문제의 근원은 대부분 '정보 아키텍처(Information Architecture, IA)'의 부재 혹은 잘못된 설계에 있습니다.다.IA를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 저는 종종 '새집의 옷장 정리'에 비유하곤 합니다. 모든 옷(정보)을 종류(속옷, 양말, 겉옷, 계절 옷) 별로 구분하고, 가장 자주 입는 옷은 손이 잘 닿는 곳에, 가끔 입는 옷은 위 칸에 정리하는 것. 그리고 각 서랍에 '양말', '속옷'이라고 이름표(Label)를 붙여두는..

  • format_list_bulleted PM
  • · 2025. 10. 22.

사용자 스토리에서 User Flow까지: 논리적인 기획을 위한 설계

이 모든 혼선과 재작업의 시작은, 우리가 '무엇(What)'은 정의했지만, '어떻게(How)' 흘러가는지에 대한 논리적인 흐름을 꼼꼼하게 설계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많은 주니어 PM/기획자들이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를 멋지게 작성하는 것에서 기획의 역할이 끝났다고 생각하는 실수를 범합니다. 하지만 사용자 스토리는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적지'일뿐, 그곳까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도달하기 위한 상세한 '지도'가 바로 User Flow입니다.이 글은 단편적인 다이어그램 작성법을 알려드리는 글이 아닙니다. '왜(Why)' 사용자 스토리에서부터 User Flow가 필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지 그 중요성부터, 실무에서 헷갈리는 유사 용어(저니맵, IA, 와이어프레임)와의 관계를 명확히 정의..

  • format_list_bulleted PM
  • · 2025. 10. 20.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입 UI/UX 설계

기획자는 서비스의 뼈대를 설명하기 위해, 디자이너는 시각적인 결과물을 공유하기 위해, 개발자는 구현 전 인터랙션을 확인하기 위해 각자 다른 결과물을 떠올리며 소통하죠. 문제는 바로 여기서 시작됩니다.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와이어프레임, 목업, 프로토타입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팀 모두가 명확하게 공유하고 있지 않다면, 보이지 않는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됩니다.기획자는 '구조'만 빠르게 보고 싶은데 디자이너가 '컬러'와 '폰트'까지 고민하느라 시간이 지체되고, 디자이너는 정적인 '화면'을 전달했는데 개발자가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구현하냐고 되묻는 상황. 이런 작은 균열들이 모여 재작업과 일정 지연, 그리고 팀원 간의 오해를 낳습니다.이 글은 바로 그 균열을 메우기 위한 완벽한 가이드입니다. 단순히 세..

  • format_list_bulleted PM
  • · 2025. 10. 19.

모노레포 vs 멀티레포, 아키텍처 가이드

왜 코드 아키텍처를 고민해야 하는가? 🤔개발 조직이 성장하고 서비스가 복잡해지면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라는 거대한 흐름을 마주하게 됩니다. 백엔드 서비스가 쪼개지고, 프런트엔드 역시 다양한 컴포넌트와 라이브러리로 분리되죠. 이 과정에서 개발자들은 필연적으로 "우리의 코드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봉착하게 됩니다.각각의 프로젝트를 독립된 저장소(Repository)로 관리할 것인지, 아니면 모든 프로젝트를 하나의 거대한 저장소에 통합하여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은 단순히 코드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넘어, 팀의 협업 방식, 빌드 및 배포 파이프라인의 효율성,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개발자 경험(DX)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이 글에서는 이 영원한 논쟁..

  • format_list_bulleted 😺 React & Next.js
  • · 2025. 10. 18.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
  • 7
  • navigate_next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37) N
    • PM (14) N
    • 😺JS & TS (6)
    • 😺 React & Next.js (8)
    • 😺 AI, LLM (1) N
    • 😺 Figma (0)
    • 😺 GSAP (1)
    • 😺 cs (5)
    • 😺 css (1)
Copyright © hyuk0825 모든 권리 보유.
SKIN: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and Current skin "dev-roo" is modified by Jin.

티스토리툴바